- 안정시 심박수란?
완전 휴식상태에서의 1분간 심박수.
안정시 심박수는 신체의 지구력 수준을 알려준다고 한다.
보통 일반 성인의 안정시 심박수는 60~80 대로 형성되어 있는데,
지구성 운동을 하는 선수들의 경우 50미만에 형성되어 있다고 한다.
- 안정시 심박수 얻는 방법
아침에 기상 후 누운 자세에서 1분간 측정된 심박수.
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몇일간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 할 수 있다.
내 경우 지난 5일간의 기상직후 심박수 5개가 65, 67, 68, 69, 69로 나왔고,
그 평균값인 68을 안정시 심박수로 정했다.
- 최대 심박수 (HRmax) 란?
1분간 심박수의 최대값.
운동 부하를 통해 큰 문제없이 도달 할 수 있는 최대 심박수.
일반적으로 나이와 함께 감소.
- 최대 심박수 공식
최대 심박수 공식 참고 사이트
http://heartratestory.com/heart-rate/status/
1. 간편 공식 1
최대 심박수 = 220 - 나이
220 - 31 = 189
2. 간편 공식 2
최대 심박수 = 211 - (0.64*나이)
211 - (0.64*31) = 191
3. 간편 공식 3
최대 심박수 = 208 - (0.7*나이)
208 - (0.7*31) = 186
4. 간편 공식 4
최대 심박수 = 207 - (0.7*나이)
207 - (0.7*31) = 185
5. 간편 공식 5
최대 심박수 = 205.8 - (0.685*나이)
205.8 - (0.685*31) = 184.5
6. 간편 공식 6
최대 심박수 = 206 - (0.88*나이)
206 - (0.88*31) = 179
공식 적용 결과 내 최대 심박수는 180~190 범위에 있을 확률이 높은 것 같다.
또한 실제 지난 4개월 간의 운동기록에서 얻었던 최대 심박수가 약 180 정도로 나왔다.
최대 심박수는 과하게 정하면 운동시 부상에 영향 을 줄 수 있기 때문에
공식 적용 결과와 지난 4개월 간의 얻은 최대 심박수를 고려해 보수적으로 180으로 정하기로 했다.
- 여유 심박수
여유 심박수 = 최대 심박수 - 안정 심박수
위에서 정한 나의 안정 심박수와 최대 심박수를 사용해 계산해보았다.
180 - 68 = 112
- 목표 심박수
어떤 연구에서는 여유 심박수의 백분율을 여유 VO2의 백분율과 동일시하여 운동강도를 설정하기도 한다.
이 경우 심박수를 기준으로 운동 강도를 정할 수 있는데,
즉, 목표 운동 강도(%)를 여유 심박수에 곱해 목표 심박수를 설정하는 것이다.
목표 심박수 = 여유 심박수 * 운동강도(%) + 안정시 심박수
'달리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 JTBC 서울 마라톤 대회 계획 (0) | 2022.11.05 |
---|---|
마라톤 페이스를 올리기 위해 필요한 지속주 (0) | 2022.05.04 |
마라톤 완주의 꿈 - 22년 3월 & 4월 훈련 결과 분석 (0) | 2022.04.30 |
마라톤 완주의 꿈 - 나에게 달리기란 (0) | 2022.04.30 |
[서수원 한바퀴] 왕송호수 - 황구지천 - 서호천 - 축만제 (0) | 2022.03.01 |